봄철 증가하는 산불 피해, 그 해결법은?
봄철 증가하는 산불 피해, 그 해결법은?
  • 박지은
  • 승인 2022.05.01 0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불 사진 출처: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사진 출처: 국립산림과학원

건조한 봄철에 대형 산불이 빈번하다. 34(), 동해안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역대 최장 시간인 9일 후에야 진화됐다. 울진 주민 4,600여 명과 삼척 주민 1,000여 명이 마을회관과 체육관 등으로 대피했으며 울진과 삼척 사이 7번 국도는 통제됐다. 정부는 당시 강원과 경북에 재난 사태를 선포했고 소방청은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중 가장 높은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산림당국이 밝힌 피해 규모는 6,066ha(10,000 m²를 나타내는 단위 헥타르의 약어)로 밤사이 2배가량 늘어났다. 이는 축구장 약 8,500여 개의 면적에 해당한다. 당국은 헬기 57, 지상 진화 장비 273, 진화 인력 3,000여 명을 투입해 진화에 안간힘을 쏟았다.

 

대형 산불의 발생 원인

당시 동해안 인근에서 산불 피해가 만연했던 이유는 해당 지역의 경사진 산림 지형과 맞물리는 양간지풍푄 현상때문이다. 여기서 양간지풍은 강원도 양양과 고성 사이에 부는 빠르고 고온 건조한 강풍을, 푄 현상은 바람이 산을 넘어 하강 기류로 내려오며 고온 건조한 바람에 의해 기온이 오르는 현상이다. 영서 지역의 공기가 서풍을 타고 백두대간을 넘으며 푄 현상으로 형성된 공기층을 만나 강한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동해안 지역에서는 산림에 떨어진 작은 불씨 하나가 강한 바람을 타고 번지는 일이 잦다.

정부가 실시해온 숲 가꾸기 사업도 큰 원인이다. 정부는 그간 숲 가꾸기 사업을 통해 넓은 면적의 소나무림을 조성해 왔는데 소나무에서 나오는 송진과 솔방울의 강한 인화성이 산림을 산불에 취약하게 만든다. 홍석환 교수(부산대 조경학과)그동안의 숲 가꾸기 사업은 우량목인 소나무 외의 다른 나무들을 모조리 잘라 버리는 간벌방식으로 진행돼 숲이 발달할 시간을 주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숲 가꾸기에 이어 한꺼번에 모든 숲의 나무를 베어내는 모두베기를 진행하다 보면 숲은 계속 척박한 토양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대형 산불의 예방법 및 대책

대형 산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후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기후 위기는 폭염·가뭄·산불 등의 경제적 손실에 따른 인적·물적 피해 및 생물 다양성, 생태계 교란 등 복합적 위기를 초래한다. 이에 대응해 훼손된 산림을 회복시키는 친환경적·예방적 관점의 해법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산불 진화 차량과 인력이 화재 현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산불의 확산을 막아 방화선 역할을 하는 임도 설치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임도 밀도는 ha3.5m로 미국(9.5), 일본(13), 독일(46)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산불에 취약한 숲을 만든 그간의 관리 방식과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산림 정책에 대한 반성을 서두로 산불이 발생하기 어렵거나 발생하더라도 대형 산불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산림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산불 연료인 초본, 관목, 낙지, 고사목, 열세목 등을 제거해 숲의 밀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는 산불확산 제어는 물론 생물다양성 증진, 숲의 탄소 흡수능력 향상, 양질의 목재 생산 효과를 가져온다.

 

심상화 강원도의원은 315(), 도의회 제307회 임시회에서 "2000년 산불 이후 20여 년간 진화와 복구 차원에서 얻은 교훈을 구체화하고 방어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졌을 법한데도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나아진 것은 산림청의 헬기 대수와 산불감시 폐쇄회로(CC)TV일 뿐이고 장기적인 전략과 지역 맞춤형 대책 없이 단기 대책으로 일관됐다""강원도의 산불 안전을 위해 종합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위기에 따른 피해가 만연한 시점에서 우리는 생태계와 산림이 파괴되는 악순환을 막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어떤 재난이든 간에 산불에 대응과 대처보다 예방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